본문 바로가기

CMMI/CMMI 일반

2011년 국내 CMMI 심사 상황 정리 SEI Website 의 심사 정보를 토대로 2011 년 국내 심사 현황을 정리해 보았다. 능력 성숙도 (maturity Level) 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으며, 능력 성숙도가 부여되지 않은 2 건의 심사를 포함해서 총 45건의 심사가 공식적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난다. Level 2 14 Level 3 21 Level 4 3 Level 5 5 흥미로운 현상으로는, 총 45 건의 심사 중, 국외 선임심사원에 의한 심사는 Level 4/5 - 8 건, Level 3 - 1 건, 기타 - 1 건으로 약 22% 에 이르며, 총 31 건의 심사 (69%)는 하반기에 일어 났고, 하반기 심사 중 24건 (79%) 은 4Q에 그것도 11~12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아래 표에서 심사.. 더보기
각 국가별 CMMI 심사 현황 Update - As of 2011년 12월 (SEI 발표) SEI가 반기별로 발표하는 CMMI Maturity Profile Update 가 며칠전에 발표되었다. 이번 리포트는 국내의 CMMI 인증 상황의 변화를 볼 수 있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즉, 2002 년 이후 약 10년동안의 국내 CMMI 인증 결과 중, 한 해 44 건의 인증 결과는 역대 최대의 결과를 보여 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은 제각각이겠지만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 ISO 26262 에 대한 대응으로 프로세스 개선 및 인증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결과로 보인다. 지난 2011년 9월부터 SEI 는 유효한 인증 결과만을 데이터화해서 보여 주고 있으며, 현재 CMMI 심사 결과가 담겨 있는 PARS 에는 5,378 건의 심사결과를 담고 있다 (4,612 건 as of 2011.9월.. 더보기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프로세스 영역에 대하여 측정과 분석 프로세스 영역에 대한 이해를 위한 해설보다는 프로젝트 내에서, 그리고 조직 레벨에서의 효과적인 구현 및 대응 방향에 대해 얘기하려고 한다. 프로젝트나 조직 내에 "측정과 분석" 프로세스를 가진 조직은 과연 몇이나 될까? 그것도 '프로세스'란 이름으로? CMMI 모델의 PA (Process Area) 를 번역하자면 '프로세스 영역'이다. '프로세스 영역'은 단일 프로세스를 말하지 않는다. 물론, CMMI 의 각 PA 에 대응하는 하나의 프로세스 (예를 들면 형상관리, 품질보증 등) 를 만들어 해당 CMMI 모델 Practice를 전부 만족할 수 있게 정의하고 수행할 수 있다면 좋은 방법이겠지만, 프로세스 영역에 따라서는 여러 프로세스/practice 들을 연관하여 효과적으로 조합 수행함으로써 .. 더보기
표준 프로세스 테일러링에 대하여 Process Tailoring 에 대해서 새삼스레 말 할 것이 있는가 하는 의구심은 들지만, 여기서 다시 거론하는 이유는 아직도 표준 프로세스 테일러링의 개념과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CMMI 를 처음 접하게 되면, 대개 얼마되지 않아서 PDP(Project defined Process) 라는 용어를 자연스레 접하게 된다. 그리고 최초로 가지게 되는 의문이 defined 의 범위에 대한 것일 것이다. 대체 얼마나 표준 프로세스를 따라야 PDP라고 할 수 있는 것인지? 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경험에 따라 표준 프로세스를 참고하여 가감.변형해서 썼을때 PDP라고 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인지? 소위 CMMI 전문가로 자처하는 사람들 역시 조금씩 다른 견해를 피력하리만치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 더보기
각 국가별 CMMI 인증 심사 현황 - As of 2011년 6월 지난 9월 말에 SEI 에서는 한 해 2번 발표하는 CMMI Maturity Profile 을 Update 하여 발표하였다. 이번 발표에서는 이전과 달리 심사 후 3년이 지나 유효하지 않거나 새로운 인증결과에 대해서는 Update 를 하여 전체 모수의 변화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간에 보여 주었던 누적 데이터와는 다른 분석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현재 CMMI 심사 결과가 담겨 있는 PARS 에는 4,612 건의 심사 결과가 유효한 것으로 나왔으며, 년도별 증가 추이는 다음과 같다. 1. 년도 별 추이 전 세계적으로 2009, 2010 년 1300 여건의 심사가 이루어 진 것을 알 수 있고, 2011년 전반기에 약 550 여건의 심사가 이루어 졌다. 하반기가 전반기 보다 많은 수를 보이는 것이 보통.. 더보기
국가별 CMMI 심사 상황 - 2010 SEI 에서 발표된 Maturity Profile 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의 국가가 꾸준히 심사수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해 심사 수로 중국이 500건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이 289건, 인도가 106건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35건으로 전년도보다 8건이 늘어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 2010 년 2H 에 획득한 CMMI Level 은 아래와 같다. -------------------------------------------------------------------------------------- Kim, Sungil (金成一) SEI 공인 CMMI 인증 선임심사원, SP 품질인증 선임심사원 Live Pro-Consulting (www.LivePro.kr) 대표/대표컨설턴트 Tel) 0.. 더보기
SEI가 발표하는 CMMI Maturity Profile - march 2011 SEI 가 2010년 12월까지의 CMMI Appraisal 결과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Download 는 아래에서 하십시요http://www.sei.cmu.edu/cmmi/casestudies/profiles/cmmi.cfm작년 심사 수가 2009년 대비해서 조금 줄었네요. CMMI V1.3 영향인가요?국내 심사수는 작년 좀 늘어서 약 35 건의 심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좀 더 상세히 분석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Kim, Sungil (金成一) SEI 공인 CMMI 인증 선임심사원, SP 품질인증 선임심사원Live Pro-Consulting .. 더보기
중국의 CMMI Today (vs. SP??) 美 카네기멜론대학의 소프트웨어공학연구소(SEI,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에서 2010년 9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2009년 한 해에 전 세계적으로 CMMI 공식 심사는 71개 국가에서 1,352 건이 수행되었으며, 이 중 약 36 %에 달하는 484 건이 중국에서 수행 된 심사 결과인 것으로 나타난다. 중국은 2006년을 기점으로 인도, 일본을 제치고 CMMI 원조 격인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CMMI 심사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2008년도에 이르러는 한 해 심사 수에서 미국을 압도하기 시작하여 2009년도에 310건인 미국보다 174건이 많았고, 2010년 상반기에만도 미국보다 109건이 많은 246 건의 심사 수를 보이고 있는 등 당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계속.. 더보기
김대리와 박대리의 프로세스 이야기 최근에 매우 흥미로운 글을 읽었다. (퍼오기가 안되니 링크를 달아 본다. 블로그 임자는 양해를 바랍니다) http://blog.naver.com/taijin100?Redirect=Log&logNo=90105011654 http://www.hwansys.com/178 개발 프로세스 형업도구의 필요성을 (1) "개발방법론을 프로젝트에 적용하기가 부담스러운 김대리"와 (2) "더 이상 표준 프로세스를 쳐다보지 않게 된 박대리"의 실사례를 빌어 얘기하고 있다. 협업도구, 또는 지원 도구는 프로세스 적용.수행을 도와주는 역활을 담당하며 따라서 경우에 따라 매우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의 필요성을 역설하기 위해서 위에서 인용한 사례에 대해서는 조금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몇자 적어.. 더보기
CMMI 구축/인증에 필요한 소요 비용과 기간 산정에 고려하여야 할 요소들 CMMI 기반의 프로세스 개선/구축 및 인증심사를 원하는 많은 조직들은 계획 단계에서 많은 질문을 하게 된다. 즉, CMMI 가 도대체 무엇인지? 누가 해 왔고 우리는 왜 해야 하는지? CMMI 를 하면 과연 좋은 점은? 효과는 무엇인지? 비용과 기간은 얼마나 소요되는지? CMMI 를 위해 조직 내부에서 해야 할 일,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등 등 인데, 그 중에서도 소요 비용, 기간 등은 향후 CMMI 활동에 대한 의사 결정을 위해 가장 필요하고 중요한 요소이며 적절하고 합리적인 산정을 위해서는 여러 주요 변수들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사실 아무리 경험많은 CMMI 컨설턴트라도 기간과 비용 등에 대한 질문을 느닷없이 받게 된다면 선뜻 답을 주기는 불가능하며, 그럴 때 즐겨 쓰는 답이 바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