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MMI/V1.3 Upgrade 정보

SCAMPI(CMMI표준심사방법론) V1.3에서의 심사대상 조직 및 sample 프로젝트 정의


SCAMPI V1.3 에서 핵심적으로 바뀐 내용 중의 하나가 심사범위의 정의 및 Sampling에 대한 것이다.

사실 이는 심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그동안 SEI 에서 고심을 많이 해 온 부분이기도 하다.

SEI는 그동안 심사 최소 프로젝트 (또는 Instantiation) 수를 지정한다던지 sampled 프로젝트의 조직원 % 및 sampled 프로젝트 % 등을 보고하게 하는 등의 조치를 통하여 심사의 객관성 및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이 사실이지만 구체적이며 명확한 기준을 제정하지는 못했다.

그런 면에서 V1.3 에서의 변화는 어떻게 보면 객관성 및 대표성을 강화 되는 면도 있고 또 한편으로는 심사의 효율성을 고려하고 있다.

1. 심사대상조직 선정

V1.3 에서는 심사대상 선정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3 단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단계 : 조직의 구성원들이 작업수행을 위해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지 정의

  일반적인 조직의 구성 및 프로젝트와 지원조직의 구성 등을 확인

2단계 : 프로세스 적용에 영향을 주는 Sampling Factor 정의

  표준 smpling factor 와 기타 sampling factor 를 정의하여 조직의 subgroup 을 정의하기 위함

  1. 표준 sampling factor

      . Location : 나라, 도시, 사이트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의 차이가 있을 시 적용

      . Customer : 고객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의 차이가 있을 시 적용

      . Size : 프로젝트나 지워 조직의 규모에 따른 프로세스 수행의 차이가 있을 시 적용

      . Organizational Structure : 세부 조직(division 등) 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의 차이가
                                             있을 시 적용

      . Type of Work : 작업 종류(SI, SM, R&D) 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의 차이가 있을 시 적용

  2. 기타 sampling factor

      . Funding Source

      . Duration

      . Complexity

      . Others

3 단계 : Sampling Factor 를 이용하여 심사대상조직(OU)을 subgroup 으로 정의.문서화  

   <예>   

            

 

2. 심사대상 프로젝트 (Organizational Scope) 수 확정

1의 심사대상 조직이 정해 지면, 각 subgroup 별 basic unit (프로젝트 수)를 확인하고 sampling 프로젝트 수를 확정하게 된다

최소 Sampling 수는 다음의 공식을 이용한다

 

                                              subgroup 의 수    x    subgroup 의 basic
                                                                           unit (프로젝트) 수 

subgroup 별                   =   ---------------------------------------------
최소 sampling 프로젝트 수                     총 basic unit (프로젝트) 수

 

이때, 1 이하의 값이 나오면 최소 수는 1 이며, 1 이상의 경우는 반올림 하게 된다.

3. 프로세스 영역 대비 basic unit (프로젝트)과 지원조직의 데이터 수집 계획 작성

데이터 Coverage rule 을 적용하여 프로세스 영역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basic unit 과 지원조직을 정하여 데이터 수집계획을 작성한다

Basic unit 에 대한 데이터 Coverage rule 은 다음과 같다

1. 각 subgroup 별로 최소 하나의 basic unit 은 모든 해당 프로세스 영역에 대해 artifact 와 affirmation 을 제공해야 한다

2. 각 subgroup 별 최소 50%의 basic unit 은 최소 하나의 프로세스 영역에 대하여 artifact 와 affirmation 을 제공해야 한다

3. 각 subgroup 별 모든 basic unit 은 최소 하나의 프로세스 영역에 대하여 artifact 또는 affirmation 을 제공해야 한다

만약 subgroup 별 1개의 basic unit 만 있는 경우는 위의 1 조건을 맞춤으로써 2, 3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게 된다

Support Function 에 대한 데이터 coverage rule

1. 해당 지원조직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 영역 전부에 대해 artifact 와 affirmation 을 제공해야 한다

2. 지원조직에 의해 제공된 artifact 와 affirmation 은 각 subgroup 별로 최소 하나의 basic unit 을 위해 제공된 것이어야 한다

3. 만약 심사대상조직내에 다수의 지원조직이 있는 경우는 (예:조직내의 각 Division 별로 형상관리 조직이 있는 경우) 모든 지원조직의 적용 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

별도로 아래의 내용을 문서화 한다

1. Population % : 심사대상 프로젝트 및 지원 조직의 직원 수 / 심사 대상 조직의 총 직원 수

2. Basic unit %  : 심사 대상 프로젝트의 수 / 심사 대상 조직 내의 총 프로젝트 수


SCAMPI V1.3 이 공식화 발표 되기 이전에 포스팅 한 내용이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전 내용 참조 --> http://sungilkim.tistory.com/entry/SCAMPI-V13-의-Scoping-Sampling-방법-및-Data-Sufficiency-Rule-에-대하여)

--------------------------------------------------------------------------------------

Kim, Sungil (金成一)

SEI 공인 CMMI 인증 선임심사원, SP 품질인증 선임심사원

Live Pro-Consulting (www.LivePro.kr) 대표/대표컨설턴트

Tel) 070-4124-7522 Mobile) 010-3137-7522 Fax) 02-6280-7520

Address) 135-565 서울 강남구 역삼1 702-10 아남 타워 빌딩 917

Twitter: http://twitter.com/sungil  Facebook: www.facebook.com/go2hevn 

Blogs: http://blog.naver.com/go2hevn , http://sungilkim.tistor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