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CMMI 와 SP 의 차이에 대해 정의하고 나름대로의 결론을 내리고 있다. 판단의 몫은 자유이지만 왜곡되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되어 나름대로 그 실체에 대한 얘기를 새삼 해 보기로 한다.
CMMI는 프로세스 모델이고, SP는 품질인증 기준 제도이다.
CMMI 는 각 조직이 추구하는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근거하여 프로세스 활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하여 CMMI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하여 조직의 프로세스를 정립.개선해 나가는 활동이다. CMMI 에서는 프로세스 능력도 및 조직레벨의 프로세스 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MMI 표준 심사 방법론인 SCAMPI (Standard CMMI Appraisal Method for Process Improvement) 에 의거하여 인증심사를 받고 그 결과에 의해 향후 개선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개선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SP 는 SP 품질인증 평가항목에 의해 각 조직의 SW 개발 프로세스의 역량 및 수행 수준을 평가하고 인증 레벨을 부여하는 그야말로 인증 제도이다.
조직 입장에서 보면 결국 인증 레벨을 따게 되니, 언뜻 차이점이 없는 것 같지만, SP 는 프로세스 기준 모델을 제시하지 않고 있는 점이 근본적인 차이점일 것이다. 즉, CMMI 든 SPICE 든, 또는 복합적이고 자체적인 프로세스 구축 및 개선 노력을 통해서 SP 평가항목을 충족시켜 인증 레벨을 획득하는 것이 목표가 된다.
CMMI는 SP 품질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활동의 하나이다
CMMI 모델을 이용한 프로세스 개선 활동 및 인증심사를 통하여, 조직은 프로세스의 강점, 약점, 프로세스 능력도 수준, 조직 프로세스의 성숙도 수준, 향후 개선 기회 등을 도출하고 지속적인 개선 활동을 수행해 나가게 된다. 따라서 조직이 SP 인증 레벨 획득을 위해서는 결국 앞단에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한 동일의 프로세스 개선 노력이 필요하게 되며, CMMI 는 그 개선 활동의 하나가 될 것이다
CMMI 레벨과 SP 의 레벨은 차이가 있다
SP 품질인증에서 부여하는 레벨 등급(2등급, 3등급)은 CMMI 의 조직 성숙도 5 단계 레벨과 근본적이고 현격한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글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짚어 보기로 한다.
이외에도 심사 방법론의 차이, 즉 심사 대상 선정, 프로젝트 sampling, 심사원, 심사 방법 등의 차이에 대해서 역시 다른 글을 통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Kim, Sungil (金成一)
SEI 공인 CMMI 인증 선임심사원, SP 품질인증 선임심사원
Live Pro-Consulting (www.LivePro.kr) 대표/대표컨설턴트
Tel) 070-4124-7522 Mobile) 010-3137-7522 Fax) 02-6280-7520
Address) 135-565 서울 강남구 역삼1동 702-10 아남 타워 빌딩 917호
Twitter: http://twitter.com/sungil Facebook: www.facebook.com/go2hevn
Blogs: http://blog.naver.com/go2hevn , http://sungilkim.tistory.com
'SP 품질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인증 컨설팅 - 라이브프로컨설팅 (0) | 2011.03.23 |
---|---|
SP 품질인증이 CMMI 인증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0) | 2011.02.14 |
SP 품질인증 획득 기업에 대한 우대 가점 부여 (0) | 2011.02.08 |
CMMI 와 SP 품질인증의 대상 프로세스 영역 및 평가항목 비교 (0) | 2010.09.20 |
CMMI 와 SP 인증 레벨 및 레벨 획득 방법상의 차이 비교 (0) | 2010.09.20 |